대한민국 소아암 진료 체계 붕괴 직전…지역간 격차 심각
대한민국 소아청소년암(소아암) 진료 체계 붕괴 직전 문제 제기
소아청소년암의 진료 체계가 붕괴 직전에 있다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일부 지역에서는 소아혈액종양 전문의 수가 0명이기 때문에 진료 자체가 불가능한 상황이다. 이러한 이유로 지방에 거주하는 소아암 환자의 70%가 치료를 위해 수도권으로 몰리고 있다. 앞으로 10년 내에는 소아혈액종양 전문의의 약 50%가 은퇴할 예정이기 때문에 진료 공백은 더욱 심해질 수밖에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의료계에서는 "소아암 환자들은 이러다가 전부 해외로 보내야 한다"는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대한소아혈액종양학회에 따르면 강원과 경북 지역에서는 소아혈액종양 전문의가 한 명도 없는 상태이다. 울산에서는 은퇴한 교수 한 명이 외래 진료만을 담당하고 있다. 충북, 광주광역시, 제주에서도 소아암 환자를 볼 수 있는 의사는 한 명뿐이다. 이에 비해 서울에는 29명, 경기에는 12명의 소아혈액종양 전문의가 있다.
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 중 70%가 소아암 치료를 서울과 경기지역에서 받고 있다. 고속철도가 깔리지 않은 지역에서는 환자들이 응급 치료를 위해 차를 타고 5~6시간을 이동해야 한다. 소아암 치료는 최소 수년이 걸리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수도권에 거주하고 있는 환자와 가족들도 많다. 그러나 이로 인해 거주비와 치료비의 경제적 부담은 그만큼 늘어나고 있다.
소아암을 20년간 치료한 김혜리 서울아산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는 "전국에는 소아혈액종양 전문의가 68명이 있다고 하지만 실제로 학회에 이름을 올리고 환자 치료와 관련해 상의할 수 있는 동료는 50명밖에 되지 않는다"며 "부산의 소아암 환자들은 KTX가 있기 때문에 서울로 가장 많이 이동하고 있다. 심지어 제2의 도시인 부산조차도 이러한 상황인 것이다"라고 말했다.
또한, 서울이라고 해서 소아암 환자 치료가 제대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김 교수는 "서울 내의 상급종합병원에서도 소아암을 담당하는 의사가 없어 심각한 상황인데…"라고 덧붙였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는 소아암 환자들과 그 가족들은 치료를 위해 지역 이동과 경제적 부담을 견뎌내야 하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
현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와 의료계는 소아혈액종양 전문의 양성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며, 지역간의 균형있는 의료 인프라 구축이 시급하다는 점을 강조해야 할 것이다. 소아암 환자들은 전국 어디에서나 동등한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 의료계와 환자들의 강력한 요구사항이다.
소아청소년암의 진료 체계가 붕괴 직전에 있다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일부 지역에서는 소아혈액종양 전문의 수가 0명이기 때문에 진료 자체가 불가능한 상황이다. 이러한 이유로 지방에 거주하는 소아암 환자의 70%가 치료를 위해 수도권으로 몰리고 있다. 앞으로 10년 내에는 소아혈액종양 전문의의 약 50%가 은퇴할 예정이기 때문에 진료 공백은 더욱 심해질 수밖에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의료계에서는 "소아암 환자들은 이러다가 전부 해외로 보내야 한다"는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대한소아혈액종양학회에 따르면 강원과 경북 지역에서는 소아혈액종양 전문의가 한 명도 없는 상태이다. 울산에서는 은퇴한 교수 한 명이 외래 진료만을 담당하고 있다. 충북, 광주광역시, 제주에서도 소아암 환자를 볼 수 있는 의사는 한 명뿐이다. 이에 비해 서울에는 29명, 경기에는 12명의 소아혈액종양 전문의가 있다.
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 중 70%가 소아암 치료를 서울과 경기지역에서 받고 있다. 고속철도가 깔리지 않은 지역에서는 환자들이 응급 치료를 위해 차를 타고 5~6시간을 이동해야 한다. 소아암 치료는 최소 수년이 걸리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수도권에 거주하고 있는 환자와 가족들도 많다. 그러나 이로 인해 거주비와 치료비의 경제적 부담은 그만큼 늘어나고 있다.
소아암을 20년간 치료한 김혜리 서울아산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는 "전국에는 소아혈액종양 전문의가 68명이 있다고 하지만 실제로 학회에 이름을 올리고 환자 치료와 관련해 상의할 수 있는 동료는 50명밖에 되지 않는다"며 "부산의 소아암 환자들은 KTX가 있기 때문에 서울로 가장 많이 이동하고 있다. 심지어 제2의 도시인 부산조차도 이러한 상황인 것이다"라고 말했다.
또한, 서울이라고 해서 소아암 환자 치료가 제대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김 교수는 "서울 내의 상급종합병원에서도 소아암을 담당하는 의사가 없어 심각한 상황인데…"라고 덧붙였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는 소아암 환자들과 그 가족들은 치료를 위해 지역 이동과 경제적 부담을 견뎌내야 하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
현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와 의료계는 소아혈액종양 전문의 양성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며, 지역간의 균형있는 의료 인프라 구축이 시급하다는 점을 강조해야 할 것이다. 소아암 환자들은 전국 어디에서나 동등한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 의료계와 환자들의 강력한 요구사항이다.
강원닷컴
기사 작성일23-07-26 11:45
- 이전글"대한민국 소아청소년암 진료 체계 붕괴 직전, 소아암 환자들은 수도권으로 몰려" 23.07.26
- 다음글구윤철 교수, 지방 발전을 위한 특강으로 춘천시청 방문 23.07.26
등록된 의견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