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손으로 놀라운 글씨: 김응현과 황욱의 서예
처음 보는 필체였다. 신필(神筆)의 경지에 오른 거장이 천진한 아이처럼 놀린 붓인가 싶었다. ‘좌수서전(左手書展)’이라는 안내판을 보고서야 왼손으로 쓴 글씨인 줄 알았다. 강원 인제 만해마을 인근에 있는 여초서예관. 만해축전 행사의 하나로 ‘님의 침묵 서예대전 수상작 전시회’를 연 이곳에서 여초(如初) 김응현(金膺顯· 1927~2007)의 왼손 글씨를 발견하고 신선한 충격을 받았다.
한국의 서성(書聖)으로 추앙받는 그는 1999년 교통사고로 오른손이 골절되는 사고를 당한 뒤 왼손으로 글씨 쓰는 연습에 매진했다. 그냥 연습만 열심히 한 게 아니라 본격적인 서법을 개발했다. 그 덕분에 2000년과 2001년 한·중 양국에서 왼손 글씨만 모은 ‘좌수서전’을 연달아 열었다. 왼쪽 손바닥으로 붓 잡고 쓰기도 뇌졸중으로 한참을 누워 지냈고 양쪽 눈과 신장, 발바닥 등의 수술을 몇 차례나 하는 동안에도 그의 열정은 식지 않았다. 곁에서 지켜본 사람들은 “신께서 쉬라는 뜻으로 글 쓰던 손을 못 쓰게 했건만 결국 천성을 누르지 못하고 쌍수(雙手) 서예가가 돼 우리 시대의 축복이 됐다”고 말했다. 이런 노력으로 그는 여섯 살 위인 형 일중(一中) 김충현(金忠顯· 1921~2006)과 함께 한국 서예의 양대 산맥으로 우뚝 설 수 있었다.
그보다 먼저 왼손 글씨로 세상을 놀라게 한 인물은 석전(石田) 황욱(黃旭· 1898~1993)이다. 그는 오른손이 떨리는 수전증을 겪자 붓을 손바닥으로 잡고 글씨를 쓰는 악필법(握筆法)을 개발했고, 1980년대 중반 왼손만 사용하는 좌수악필(左手握筆) 서체를 완성했다. 꿈틀거리는 모양의 장엄한 글씨체를 구사했던 그가 65세에 …
한국의 서성(書聖)으로 추앙받는 그는 1999년 교통사고로 오른손이 골절되는 사고를 당한 뒤 왼손으로 글씨 쓰는 연습에 매진했다. 그냥 연습만 열심히 한 게 아니라 본격적인 서법을 개발했다. 그 덕분에 2000년과 2001년 한·중 양국에서 왼손 글씨만 모은 ‘좌수서전’을 연달아 열었다. 왼쪽 손바닥으로 붓 잡고 쓰기도 뇌졸중으로 한참을 누워 지냈고 양쪽 눈과 신장, 발바닥 등의 수술을 몇 차례나 하는 동안에도 그의 열정은 식지 않았다. 곁에서 지켜본 사람들은 “신께서 쉬라는 뜻으로 글 쓰던 손을 못 쓰게 했건만 결국 천성을 누르지 못하고 쌍수(雙手) 서예가가 돼 우리 시대의 축복이 됐다”고 말했다. 이런 노력으로 그는 여섯 살 위인 형 일중(一中) 김충현(金忠顯· 1921~2006)과 함께 한국 서예의 양대 산맥으로 우뚝 설 수 있었다.
그보다 먼저 왼손 글씨로 세상을 놀라게 한 인물은 석전(石田) 황욱(黃旭· 1898~1993)이다. 그는 오른손이 떨리는 수전증을 겪자 붓을 손바닥으로 잡고 글씨를 쓰는 악필법(握筆法)을 개발했고, 1980년대 중반 왼손만 사용하는 좌수악필(左手握筆) 서체를 완성했다. 꿈틀거리는 모양의 장엄한 글씨체를 구사했던 그가 65세에 …
강원닷컴 박인철 시민기자
기사 작성일23-09-01 13:18
- 이전글2024학년도 수시 원서 접수 안내 23.09.01
- 다음글현대차 정몽구 재단, 인제스피디움에서 현대차 정몽구 스칼러십 장학생 여름캠프 개최 23.09.01
등록된 의견이 없습니다.